리액트 16의 세 번째 멋진 기능은 Error Boundaries이다. 직역하면 에러 경계이다. 이건 컴포넌트 자식의 에러를 관리할 수 있게 해 준다. 만약 포털이 에러를 만들면, 앱으로 관리할 수 있다. return types을 에러로 만들면, 동일하게 관리할 수 있다. 정상 작동할 경우에는 자식의 에러에만 한정된다. ErrorMaker 컴포넌트를 만들고 freinds에 몇 가지 이름을 넣어보자. 아래와 같이 렌더가 정상적으로 되었다. 이제 에러를 발생시켜보자. componentDidMount에서 setTimeout을 사용하여 1초 후 friends에 undefined를 할당해보자. 개발을 하다 보면 일반적이고 흔히 볼 수 있는 화면이다. 하지만 이런 화면은 사용자 입장에서는 불편하다. 에러를 잡아보자..
리액트 16의 두 번째 멋진 기능은 portals이다. 생각보다 유용해 보이지 않을 수 있는 데 사용하다 보면 유용함을 느낄 수 있다. 기본적으로 리액트는 div를 찾아서 마운트를 한다. 가끔은 리액트 root 밖에서 마운트를 해야 될 때가 있다 예를 들어 헤더가 root 밖에 있고 헤더의 타이틀 및 CSS를 변경하고 싶을 때 또는 다른 사이트를 로딩할 때 등이다. 이럴 경우 portals를 사용하면 된다. portals은 리액트 root 밖에서 리액트를 넣을 수 있도록 해준다. span 태그에 id를 지정해서 만들고 컴포넌트에서 엘리먼트를 리턴하는 대신 portals을 리턴하면 된다. import { createPortal } from 'react-dom'; const Message = () => 'J..
- 리액트
- 성능분석
- Eclipse
- 소프트웨어공학
- javascript
- Java
- SQL
- sort algorithm
- 자바
- 회고
- 자바스크립트
- spring
- 제주도 3박4일 일정
- Linux 명령어
- 정렬 알고리즘
- 오라클 내장 함수
- 리눅스 명령어
- 경력관리
- React
- effective java
- 프로그래머스
- Maven
- Tomcat
- 프로그래머
- 제주도 여행
- 오라클
- 개발환경
- Collection
- 이직
- 리액트 16
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