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암호와 화폐를 나눠서 생각해보자.
데이터를 암호화하는 인코딩, 디코딩에 대한 것이다. 간단한 예를 들면 누군가에게 편지를 쓸 때 다른 사람은 편지 내용을 알 수 없게 암호화하여 받는 사람만 해당 내용을 볼 수 있게 하는 것이다. 이런 프로세스는 본인 인증을 할 수 있는 수단이 되기도 한다.
화폐는 거래, 교환을 위한 수단이다. 어떤 노동에 대한 임금의 대가로 지불한다고 할 때 화폐를 지불한다고 할 수 있다. 한국 원, 미국 달러, 독일 유로, 태국 바트 등 명목 화폐를 말한다. 정부가 화폐라고 인증을 한 것이다. 그래서 정부가 안정적일수록, 국가가 강력할수록, 화폐의 가치도 신뢰도에 따라 화폐의 가치도 결정된다.
그럼 암호화폐는 무엇인가 생각해보면, 화폐는 정부의 신뢰를 통해 화폐를 인정받았으면, 암호화폐는 수학에 대한 신뢰도가 기반이 된 화폐이다. 정부의 신뢰 없이 세계적으로 수학적 암호에 의거해 만들어진 암호화폐가 비트코인이다
'프로그래밍 > Etc' 카테고리의 다른 글
[Etc] MySQL Workbench 설치 (0) | 2020.01.06 |
---|---|
[Etc] VSC(Visual Studio Code) 단축키 (2) | 2019.11.11 |
[Etc] git과 GitHub 차이 (0) | 2019.11.08 |
[Etc] 아스키 코드(ASCII CODE) (0) | 2019.10.13 |
[Etc] C, C++, C#의 차이점 (0) | 2019.10.11 |
댓글
공지사항
최근에 올라온 글
최근에 달린 댓글
링크
TAG
- Tomcat
- 리눅스 명령어
- effective java
- 리액트
- 프로그래머
- Eclipse
- 소프트웨어공학
- sort algorithm
- Maven
- 자바스크립트
- 회고
- 제주도 3박4일 일정
- Java
- 정렬 알고리즘
- 개발환경
- React
- SQL
- Linux 명령어
- 리액트 16
- spring
- 제주도 여행
- 프로그래머스
- Collection
- 경력관리
- 오라클
- 오라클 내장 함수
- javascript
- 이직
- 자바
- 성능분석
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4 | 5 |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글 보관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