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lgorithm] 선택 정렬(Selection sort)
선택 정렬 기본 개념 제자리 정렬(in-place sorting) 알고리즘의 하나로, 입력 배열 이외에 다른 추가 메모리를 요구하지 않는 정렬 방법이다. 해당 순서에 원소를 넣을 위치는 이미 정해져 있고, 어떤 원소를 넣을지 선택하는 알고리즘이다. 선택 정렬 구체적인 개념 선택 정렬은 첫 번째 자료를 두 번째 자료부터 마지막 자료까지 차례대로 비교하여 가장 작은 값을 찾아 첫 번째에 놓고, 두 번째 자료를 세번째 자료부터 마지막 자료까지 차례대로 비교하여 그 중 가장 작은 값을 찾아 두 번째 위치에 놓는 과정을 반복하며 정렬을 수행한다. 1회전을 수행하고 나면 가장 작은 값의 자료가 맨 앞에 오게 되므로 그 다음 회차에서는 두 번째 자료를 가지고 비교한다. 선택 정렬 알고리즘 예제 import java...
프로그래밍/Algorithm
2019. 10. 3. 00:14
공지사항
최근에 올라온 글
최근에 달린 댓글
링크
TAG
- effective java
- 자바
- Collection
- 경력관리
- Linux 명령어
- 리액트
- 정렬 알고리즘
- 자바스크립트
- 오라클
- 프로그래머스
- 리액트 16
- Tomcat
- Eclipse
- 소프트웨어공학
- 개발환경
- Java
- sort algorithm
- SQL
- 제주도 여행
- 리눅스 명령어
- 프로그래머
- Maven
- 제주도 3박4일 일정
- 이직
- 성능분석
- React
- 오라클 내장 함수
- 회고
- spring
- javascript
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글 보관함